본문 바로가기
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공부하기

클라이언트와의 성공적인 협업을 위한 기록의 중요성

by 노는 엄마 리셋하기 2024. 6. 9.
반응형

 

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: 기록의 중요성과 지침

 

 

 

사회복지 실천 과정에서 기록은 필수적인 요인입니다. 이는 단순한 문서의 기록이 아니라,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자세하면서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, 개입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며, 앞으로의 활동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약과 개입 단계에서의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.

 

1. 사회복지 실천의 기록 지침

기록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, 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데는 몇 가지 지침이 필요합니다.

 

특정 기록 양식과 형태를 선택하는 기준


- 비용 절감 : 기록을 구성하거나 작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, 정보의 저장과 검색을 간편하게 하여 비용을 절 감할 수 있는 형식을 사용합니다.


- 책무성 만족 : 자격을 인정해 주거나 재원을 제공하는 기관이 요구하는 책무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록 형식을 선택해야 합니다.


- 기관 내부의 요구 : 의사결정, 사례의 지속성, 슈퍼비전 또는 전문가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기관 내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.


- 기록 기준 일치 : 현재의 기관 차원 또는 분야 차원의 기록 기준과 일치해야 합니다.
- 실무 과정 일치 : 실무과정과 일치하여 어떤 정보가 중요하며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지에 관한 내용을 기록해야 합니다.


- 클라이언트 권리 보호 : 클라이언트의 사적 권리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기록 형식을 선택합니다.
- 접근성 보장 : 클라이언트가 필요시 접근할 수 있는 기록 형식이어야 합니다.

 

기록 시 유의 사항

 

- 신속성 : 기록은 신속하게 작성해야 합니다.
- 정확성 : 모든 정보는 정확하게 기재되어야 합니다.
- 간결성 : 불필요한 내용은 제외하고 간결하게 작성합니다.
- 명료성 :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료하게 작성합니다.
- 필기도구 사용 : 지워질 수 있는 필기도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.
- 기록자의 이름 기재 : 기록자의 이름이 분명히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.
- 정확한 날짜 기재 : 기록 일자를 정확하게 기재합니다.
- 반복 금지 : 이미 기록된 내용을 반복하지 않습니다.
- 소제목 활용 : 문단에 소제목을 붙여 가독성을 높입니다.
- 용어 사용 : 상식에 벗어나는 용어와 기호의 사용을 피하고, 전문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합니다.
- 논리적 기록 : 논리 정연하게 기록하여 전후 맥락을 분명히 합니다.
- 문장 부호 주의 : 문장 부호와 오탈자를 주의합니다.

 

 

2. 계약과 개입 단계에서의 기록 내용과 형식

 

계약 단계의 기록 내용


- 목표 기록 :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설정한 목표를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게 기록합니다.
- 책임 기록 : 계약에 따른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책임(권리와 의무)을 명확히 기록합니다.
- 기법 및 방법 기록 :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기법과 방법을 기록합니다.
- 행정 절차 기록 : 면담 시간과 장소 같은 행정적 절차를 기록합니다.

 

계약 단계의 기록 형식


- 문제 정의 :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규정한 문제를 기록합니다.
- 최종 목표 :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하며, 목표 달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기록합니다.
- 계획 : 접근 방법,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과제 및 행동 단계를 기록합니다.
- 평가 계획 : 목표를 평가하는 방법과 과정을 기록합니다.

 

개입 단계의 기록 내용

 

- 활동 기록 : 클라이언트와의 활동 및 클라이언트를 대신한 활동을 기록합니다.
- 새로운 정보 기록 : 클라이언트와 문제 상황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기록합니다.
- 중요 사건 기록 : 중요한 사건을 즉시 기록하고 슈퍼바이저나 관리 책임자에게 보고합니다.
- 평가 기록 : 개입 과정에 대한 실천 과정 평가와 결과 평가를 기록합니다.

 

개입 단계의 기록 형식

 

1. 문제중심기록 (POMR)
   - 데이터베이스 :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기록합니다.
   - 문제 목록 : 클라이언트의 문제 목록을 작성하여 중요한 문제를 강조합니다.
   - 초기 계획 : 각 문제에 대한 초기 계획을 기록합니다.
   - 진행 노트 (SOAP) : 주관적 자료, 객관적 자료, 사정, 계획을 포함한 노트를 작성합니다.

2. SOAIGP
   - S (Supplemental) : 클라이언트 가족 성원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록합니다.
   - O (Observations) : 클라이언트 및 문제 상황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관찰을 기록합니다.
   - A (Activities) :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과제 및 회기 내 과제를 요약합니다.
   - I (Impressions) : 목표 달성 정도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평가, 인상, 가설을 요약합니다.
   - G (Goals) : 개인 목표 또는 수정된 목표를 기록합니다.
   - P (Plans) : 사회복지사의 접근 방법 변화 및 추가 활동 계획을 기록합니다.

 

 

마무리

사회복지 실천 기록은 체계적이고 명확해야 하며,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의 상호작용을 정확하게 문서화하고, 지속적인 평가와 개입을 통해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습니다. 기록의 지침을 잘 준수하고, 계약과 개입 단계에서의 내용을 충실히 기록함으로써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.


 

 

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: 기록의 중요성과 지침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