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트렌드 & 라이프스타일

초보도 쉽게 배우는 명절 차례상 차리는 순서와 요령

by 노는 엄마 리셋하기 2025. 10. 4.

 

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시고 나서 명절 차례상 차릴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고민이 바로 차례상을 어떻게 차려야 할지 막막한 심정이더라고요. 음식은 어떤 순서로 올리고, 전통적인 규칙은 무엇을 지켜야 하는지 혼란스러운 분들이 많이 계시죠. 이번 글에서는 처음 준비하는 분도 차근차근 따라 할 수 있는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차례상 기본 의미와 준비 순서

 

차례상은 조상을 기리는 마음을 담아 올리는 상차림이죠. 설날과 추석에 주로 진행하며, 온 가족이 모여 전통을 이어가는 중요한 의식이기도 합니다. 차례상 준비 순서는 크게 상차림 준비 → 음식 조리 → 배치 → 예절로 나눌 수 있어요.

 

 

전통 차례상 전체 모습, 상 위에 가지런히 놓인 음식들

 

 

차례상 음식 배치 원칙

 

홍동백서, 좌포우혜, 동두서미 등 여러 원칙들을 들어보기는 했지만 막상 차례상에 적용하려면 잊어버리고 떠오르지 않고 어떤 음식이 먼저인지 난감할 때가 많아요.

 

차례상은 좌포우혜(왼쪽에 포, 오른쪽에 식혜), 동두서미(동쪽에 두부·두류, 서쪽에 고기) 같은 전통적인 배치 원칙이 있어요.

  • 북쪽(위쪽): 술잔, 향
  • 중앙: 밥과 국
  • 동쪽: 생선, 두부
  • 서쪽: 고기류
  • 남쪽: 과일과 나물

차례상 음식 배치

 

 

 

차례상 음식 종류별 설명

 

차례상에는 기본적으로 밥, 국, 생선, 고기, 전, 나물, 과일, 술 등이 올라가요.

 

  • 밥·국: 맑은 국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
  • 생선: 대개 조기, 도미 등 흰 살 생선 사용
  • : 동태전, 동그랑땡 등
  • 과일: 대추, 배, 감, 밤 등 계절과일
  • 나물: 고사리, 시금치, 도라지 등 3가지 이상 준비

 

전통 과일과 전이 올려진 차례상

 

 

 

실용적으로 차례상 준비하는 팁

 

현대에는 전통 규칙을 모두 지키기보다는 실용적으로 준비하는 가정이 늘고 있어요.

 

  • 시간 절약: 시중에서 판매하는 반조리 전과 나물을 활용
  • 비용 절감: 재래시장 이용, 온라인 명절 세트 구매
  • 간소화: 가족 수에 맞게 음식 양을 줄여 준비

 

시장에서 명절 재료를 고르는 모습

 

 

차례상 비용과 준비 전략

 

차례상을 준비하다보면 비용이 많이 들어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. 보통 30만 원에서 50만 원대가 평균적입니다. 하지만 요즘은 준비를 간소화하기도 하고 그 방식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기도 하죠.

 

👉 온라인 명절 세트를 활용하면 배송부터 포장까지 간편하고, 가격 비교도 확인할 수 있어요. 👉 전통시장을 활용하면 더 저렴하게 준비할 수 있답니다. 직접 눈을 확인 후 구입하기에 믿을만하고 정성이 느껴지기도 합니다. 

 

 

 

정리 및 마무리

 

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전통적 의미와 현대적 실용성에 따라 조화롭게 맞추는 것이 중요하죠, 꼭 규칙을 완벽히 지키는 것보다 온 가족과 함께 모여 마음을 나누는 시간으로 여긴다면 더 큰 의미를 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 

 

혹시 명절 차례상을 준비 중이십니까? 이번 글을 보시고 현실에 맞게 효율적으로 준비해 보시는 것을 권해드려요. 

이번 추석 명절에 온가족과 따뜻한 마음을 나누며 즐거운 연휴를 보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 

 

 

출처: 한국민속대백과사전, 농촌진흥청 자료